경기도수영연맹

수영정보

수영정보

수영정보

HOME > 수영정보 > 수영정보

수영의 역사

수영의 역사

인간이 언제부터 수영하고 또, 가르치고 배우게 되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수영의 발생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지만, 고대부터 목욕, 어업, 교통수단 및 전투훈련과 같은 생활 수단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 것은 확실하다

각종 운동 경기가 행해졌던 고대 그리스에서는 경기종목에 수영이 포함되지 않았다. 고대의 수영은 체육이나 레크레이션을 위한 것보다 군사 목적이나 식량을 얻기 위한 생활수단에 대한 필요성에서 발달한 것이다.

중세 유럽에서는 수영이 기사의 필수 과목이 되었고, 교양이나 생활 또는 전쟁을 위한 중요한 운동의 하나가 되었다. 중세 말기에서 근세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는, 종교상의 이유와 물이 흑사병과 같은 전염병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수영이나 목욕이 금지되었다.

수영이 일반경기 종목으로 나타나기 시작 한 시기는 19세기경이다. 수영이 레크레이션과 함께 학교대항 시합도 개최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군사 목적으로 시작된 수영도 20세기부터 신체단련 수단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수영의 근대화에 노력한 인물로는 이탈리아의 베르누르디(Bernurdi), 독일의 구츠무츠(Gutsmuths), 푸엘(Pfuel)등이 있다. 개척자들의 노력으로 수영의 가치가 심어지게 되었고, 이와 함께 유럽의 도시나 군대에서는 수영을 위한 연습장을 세우게 되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 수영 클럽의 탄생으로 인해 오늘날의 수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수영 경기가 본격적으로 시작 된 것은 영국의 국립 수영협회가 19세기 초에 개최한 것이며, 초기 영국 수영 경기의 대부분은 평영(Breaststroke)의 형태를 사용했다(USA Swimming, 2015).

초기 올림픽에서 수영은 모두 크롤(Crawl) 영법으로 시행했다. 1837년부터 자유형 경기종목이 시작되었는데, 양팔을 물 위로 내빼어 교대로 저어가는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이 영법은 창시자의 이름을 따서 트러전 수영법(Trudgen Stroke)이라고 불렀다.

20세기, 굉장한 속도와 전혀 새로운 수영 영법인 크롤 스트로크(Crawl Stroke)가 선보였다. 하지만 크롤 스트로크가 진보·발전되기까지 20세기 대부분이 소요되었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에 의해 크롤 스트로크 수영 지식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들었다.

1896년부터 올림픽에서 자유형과 평영이 함께 치러졌다. 1940년대, 평영은 머리 앞쪽으로 두 팔을 옮겨와 속도의 향상을 이루었지만, 이 영법은 평영에서 금지되었다. 금지된 영법은 이후 접영(Butterfly)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 접영의 다리 동작은 평영과 같았지만 1954년 일본의 가자와(kajawa) 선수가 이 다리 동작을 돌핀킥(Dolphin kick)으로 더욱 고안 발달시키고,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공식적으로 등장하였다.

배영(backstroke)은 1912년부터 경영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초기 배영은 수면위에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발달한 것으로 크롤 영법이 나타나기 전 평영의 다리 동작으로 양손을 동시에 저어가는 방법이었지만, 1900년대에 크롤 영법을 뒤집어 놓은 수영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수영은 갑오경장 이후 스포츠가 널리 소개·보급되면서 수영도 체계적인 지도와 보급이 이루어졌다. 1916년 원산 송도원에서 국내 최초의 강습회를 청년회 주최로 개최하게 되었고, 1929년 9월 1일 동아일보사 주최로 제1회 전조선 수영대회를 경성제대수영장(서울 동숭둥)에서 개최되었다.

1930년에는 조선수상경기협회가 발족하였다. 해방 후 1946년 대한수상경기연맹으로 재정비되어 1958년 제 3회 동경아시안게임에 이르러서야 우리나라 처음으로 국제대회에 선수 2명을 파견하게 되었다. 이후 1966년에 대한수영연맹으로 명칭을 변경해 오늘날까지 사용하고 있다.

수영(swimming) 소개

수영은 육상과 더불어 스포츠의 대표적 기초 종목으로서 경기 종류에 따라 크게 경영(競泳)·다이빙·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수구(水球)·오픈 워터(open water)의 5개 종목으로 분류한다. 오늘날 수영경기라 함은 좁은 뜻에서 경영 종목을 통칭하며, 다이빙·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수구·오픈 워터는 별도로 언급되기도 한다. 국제수영연맹에서 경영 종목을 지칭하는 영어도 우리말로 수영을 뜻하는 ‘스위밍(swimming)’이다.

경영

경영은 영법(泳法)과 경기방식에 따라 자유형·평영·접영·배영·혼영·계영·개인혼영·혼계영·마라톤 등의 종목으로 분류하며, 이들 종목은 다시 거리별로 세분된다. 올림픽 경영 종목은 자유형 10(남자 50m·100m·200m·400m·1500m, 여자 50m·100m·200m·400m·800m), 평영 4(남녀 100m·200m), 배영 4(남녀 100m·200m), 접영 4(남녀100m·200m), 개인혼영 4(남녀 200m·400m), 계영 4(남녀 400m·800m), 혼계영 2(남녀 400m), 마라톤 2(남녀 10㎞) 등 34개로 세분된다.

각 세부종목은 예선과 결선 또는 예선과 준 결선·결선으로 치러진다. 결선 진출자는 예선의 기록 순으로 상위 8명을 선정하되, 8위의 선수가 2명일 경우는 재경기를 하여 결선 진출자를 선정한다. 결선의 레인 배정은 예선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낸 선수 또는 팀을 중앙(홀수 코스의 풀에서는 중앙의 코스, 6코스의 풀에서는 제3코스, 8코스의 풀에서는 제4코스)에 배정하고, 그 이하의 성적순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교대로 배정한다.

수구

수중 경기장에서 각각 7명으로 이루어진 두 팀이 물에 뜨는 공을 이용하여 상대방 골에 공을 넣어 득점을 겨루는 수영 경기의 하나이다. 19세기 후반에 영국에서 시작되어 유럽과 미국 등지로 확산되었다. 1900년에 남자 종목이 하계올림픽경기대회의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00년부터 여자 종목도 추가되었다.

물속에서 하는 유일한 구기 운동으로서 경기 형태가 핸드볼과 비슷하여 ‘물속의 핸드볼‘이라고도 한다. 또 머리를 제외한 신체의 대부분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격렬한 몸싸움을 벌이기 때문에 ‘수중 격투기‘라고 불리기도 할 만큼 수영 기술 못지않게 힘과 지구력이 필요한 종목이다.

경기방법

각각 7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수중 경기장에서 상대 팀 골에 공을 더 많이 넣는 것으로 승부를 겨룬다. 한 팀은 교체요원 6명을 포함하여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골키퍼 이외의 포지션은 프트백·라이트백·하프백·레프트포워드·센터포워드·라이트포워드로 짜인다.

공을 경기장 중앙에 놓고 경기를 시작하는 신호와 함께 양 팀의 선수들이 동시에 헤엄쳐 나아가 먼저 공을 차지한 쪽이 선제공격을 취한다. 한 차례의 공격은 30초로 제한되며, 선수들이 패스 등을 통하여 상대 골문으로 전진하여 공을 넣으면 1점을 얻는다. 경기는 8분씩 4쿼터(또는 피리어드)로 진행되며, 한 쿼터가 끝날 때마다 2분간 휴식한다. 2쿼터가 끝나면 양 팀이 서로 자리를 바꾼다. 4쿼터 종료 후 동점일 때는 3분간 2차례의 연장전을 실시하고, 연장전도 동점일 때는 양 팀이 1명씩 승패를 가릴 때까지 페널티 슛을 실시한다. 경기 도중 공을 가지고 있는 팀은 타임아웃을 요청할 수 있는데, 횟수는 팀당 2차례이고 시간은 1분이다.

심판진은 경기 진행에 절대적 권한을 가지고 총괄하는 주심(Referee) 2명과 골라인 연장에서 깃발 신호로 득점 등을 알리는 골심(Goal judges) 2명, 휴식 시간과 각 팀이 볼을 계속 가지고 있는 시간을 재는 계시원(計時員) 2명, 선수의 퇴수(退水) 시간을 관리하고 파울 수를 기록하는 기록원(간사)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경기의 중요도에 따라 골심 없이 주심 2명이 진행하거나 주심 1명과 골심 2명이 진행하기도 한다. 또 계시원과 기록원을 각각 1명씩 또는 2명씩 두는 경우도 있다.

각 세부종목은 예선과 결선 또는 예선과 준 결선·결선으로 치러진다. 결선 진출자는 예선의 기록 순으로 상위 8명을 선정하되, 8위의 선수가 2명일 경우는 재경기를 하여 결선 진출자를 선정한다. 결선의 레인 배정은 예선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낸 선수 또는 팀을 중앙(홀수 코스의 풀에서는 중앙의 코스, 6코스의 풀에서는 제3코스, 8코스의 풀에서는 제4코스)에 배정하고, 그 이하의 성적순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교대로 배정한다.

다이빙

일정한 높이에서 물속으로 뛰어드는 과정에서의 달리기, 발 구름, 공중에서의 다이빙 기술과 우아함, 입수 자세를 채점하여 득점으로 순위를 정하는 경기로 남·여 스프링보드다이빙(Springboard Diving)과 플랫폼다이빙(Platform Diving) 경기가 있다.

스프링보드다이빙(Springboard Diving)은 길이 4.8m, 너비 0.5m이상의 스프링보드의 반동을 이용, 발을 굴러 다이빙해 물에 뛰어드는 경기로, 스프링보드의 높이에 따라 1m와 3m, 두 종목이 있으나 올림픽에서는 3m만 실시한다.

스프링보드다이빙 자세에는 앞으로 뛰기(Forward), 뒤로 서서 앞으로 뛰기(Inward), 뒤로 뛰기(Backward), 앞으로 서서 뒤로 뛰기(Reverse), 그리고 비틀기(Twisting)의 다섯 가지 자세가 있다.

플랫폼(Platform)다이빙은 일명 하이 다이빙이라고도 불리며, 너비 2m, 길이 6m의 플랫폼에서 스프링보드의 5가지자세와 물구나무서서뛰어들기(Armstands)가추가되어6가지자세가있다.플랫폼의높이는1m·3m·5m·7.5m·10m가있으며, 올림픽에서는10m만실시 한다.

스프링보드다이빙 경기에서 남자는 11회, 여자는 10회의 다이빙을 하며, 플랫폼다이빙 경기에서 남자는 10회, 여자는 8회의 다이빙을 실시하는데, 스프링보드다이빙은 규정종목 5개(난 이율 9.5이하)와 자유종목 5∼6개로 구성되며, 플랫폼다이빙은 규정종목 4개(난 이율 7.6이하)와 자유종목 4∼6개로 구성된다.

아티스틱 스위밍

수중 운동의 한가지로, 음악에 맞추어 여러 명의 선수가 수면 위에서 동작을 연기하는 경기 종목이다.

경기 종목은 1명이 연기하는 솔로(solo)경기, 2명이 함께 하는 듀엣(duetto)경기, 그리고 4~8명이 경기하는 팀(team) 종목이 있고 피겨 루틴, 테크니컬 루틴, 프리 루틴으로 나누어 연기하게 된다. 피겨 루틴의 경우, 규정 종목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미 선정이 돼 있는 7개의 규정 그룹 즉, 각 그룹에는 기본이 되는 4개 동작이 포함되어있는데, 대회직전에 추첨으로 한 그룹을 선택해서 전선수가 연기를 한다. 선수들은 4개의 규정 종목을 연기해야 한다.

프리 루틴은 말 그대로 안무나 음악에 제한이 없다. 복장, 메이크업은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아름답게 또는 작품의 특성에 알맞게 예술성을 살리려 제작한다. 테크니컬 루틴은 필수 요소를 꼭 포함하여야 한다. 음악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스포츠에 적합한 수영복과 머리장식, 간단한 화장을 허용한다.

오픈워터 스위밍

오픈 워터 스위밍(Open water swimming)은 바다와 강, 호수 등 자연의 물속에서 행해지는 장거리 수영 경기이다. 선수는 수영과 수구 경험자가 많지만, 경기는 날씨와 갯벌 생물 등 외부에서 다양한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빨리 수영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자연 속에서 수영을 위한 지식과 경험 등이 요구된다. 한편, 야외에서 레크리에이션으로 일반 사람들 사이에도 애호가가 늘고 있는 스포츠이다.